본문 바로가기

Network

(8)
[네트워크 실습] 네트워크 기본설정 기본설정 > : 유저모드 설정 불가능, 제한적 명령어 지원 enable : 관리자 모드 접근 명령어 # : 관리자모드 설정 불가능,설정 정보 확인, 검증 작업 configure terminal : 전역 설정 모드 접근 명령어 (config)# : 전역 설정모드 라우터 전역에 대한 설정 1. hostname XX : 장비 이름 설정 2. enable secret XXXX : 관리자모드 접근 패스워드 3. no ip domain-lookup : 도메인 서버 찾지 않겠다. line console 0 : 라우터 관리 모드 (config-line)# : line Mode 라우터 접근 관련 설정 1. password cisco login 라우터 접속 패스워드 2. logging synchronous : 로그 메시지..
[네트워크 기초] IP 프로토콜의 이해_7 1.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 -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 : 상위 계층에 연결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전송과 경로 선택 기능을 제공하고,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적의 경로 선택. ●라우팅(Routing) - 네트워크의 구성 형태에 대한 정보는 라우팅 테이블(Routing Table)이라는 기억 장소에 보관. - 라우팅 : 송수신 호스트 사이의 패킷 전달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. ●혼잡 제어(Congestion Control) - 혼잡(Congestion) : 네트워크에 패킷 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현상. - 혼잡 제어 : 혼잡 현상을 예방하거나 제거하는 기능. ●패킷의 분할과 병합 - 상위의 전송 계층에서 송신을 요구한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MAC 계층의 프레임 구조에 정의된 형식으로 캡슐화..
[네트워크 기초] 데이터 링크 계층_6 1. 프로토콜의 기초 - 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 : 두 개의 호스트가 통신->점대점 방식. * 점대점 = 1:1 * 멀티 드롭(Multi-Drop) 방식 = 1:다수 (주소 개념 필요) (1) 프레임 종류 ●정보 프레임 - 상위 계층이 전송 요구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용도. ●긍정 응답 프레임 - 전송 데이터가 올바르게 도착 했음을 회신하는 용도. ●부정 응답 프레임 - 전송 데이터가 깨져서 도착했음을 회신하는 용도. - 데이터 수신한 호스트가 데이터 송신한 호스트에게 전송. - 재전송하여 오류 복구. (2) 오류 · 흐름 제어가 없는 프로토콜 ●가정 - 단방향 통신 : 데이터는 송신 호스트에서 수신 호스트로만(한쪽 방향으로만) 전달된다. - 전송 오류가 없는 물리 매체 : 통신 ..
[네트워크] MAC 계층_5 1. IEEE 802 시리즈 (1)MAC 계층과 LLC 계층 ●MAC 계층 : 물리적 전송 선로 특징, 매체간의 연결 방식. - LAN종류에 따라 특성 구분. - 공유 버스 방식 - 이더넷 지원. - 토큰 링 방식 - 링 구조 지원.(토큰 링 - 우선 순위 부여) ●LLC 계층 :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본 기능. - WAN 환경의 데이터 링크 계층과 유사. (2)IEEE 802 시리즈 ●CSMA/CD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/Collision Detection) - 다중 접근 채널 방식 이용. ●토큰 버스(Token Bus) - 물리적으로 점선으로 표신된 버스 구조로 연결되지만 논리적 데이터 전달은 링 구조(실선)다. ●토큰 링(Token Ring) -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..
[네트워크 기초] 데이트 전송의 기초_4 1. 데이터 전송 방식 ● 네트워크 효과 - 자원 공유 - 병렬 처리에 의한 성능 향상. - 중복 저장으로 신뢰성 향상. (1) 전송과 교환 ● 전송 방식의 종류 ① 점대점 방식 - 송신 호스트가 증개 호스트와 1:1로 연결. - 원거리 통신 방식. ② 브로드캐스팅 방식 -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데이터 전송. - 가까운 호스트 사이의 통신에서 주로 사용. (2)점대점(Point-to-Point) 방식 - 스타(Star)형 : 중앙에 있는 하나의 중개 호스트 주위로 여러 호스트를 1:1 연결. (=트리형) - 링(Ring)형 : 순환 고리 구조, 전송 데이터가 브로드캐스팅 되는 특징. (토큰 : 충돌 제어 기능.) - 완전형 :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호스트가 다른 모든 호스트와 1:1로 직접..
[네트워크 기초] 네트워크 기술_3 1. 교환 시스템 :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달하도록 데이터를 중개하는 교환 기능 제공. ●회선 교환 방식 : 고정 대역폭 전송률 지원, 네트워크 구조 단순. -> 음성 전화 서비스(발전 요인) - 회선 교환(Circuit Switching) : 고정 대역이 할당된 연결·설정->데이터 전송 ●패킷 교환 방식 : 가변 대역 전송률 지원, 네트워크 구조 복잡. -> 컴퓨터 네트워크(발전 요인) - 패킷 교환(Packet Switching) : 데이터를 미리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. (방식) ->가상 회선 : 모든 패킷의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. ->데이터 그램 : 패킷들이 각각의 경로로 전송. (1) 교환 시스템의 종류 ●회선 교환 : 데이터 전송전에 연결 경로 설정. ●메시지 교환(Messag..
[네트워크 기초] 네트워크 모델_2 1. 계층 구조의 개념 (1) 계층적 모듈 구조 ●모듈화 - 크고 복잡한 시스템을 기능별로 여러개의 작고 단순한 모듈로 독립화. - 모듈 사이의 적절한 인터페이스가 필요. ●계층 구조 : 하위 모듈은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상위 모듈에 통보. ●계층 구조 장점 - 복작, 큰 시스템-(재구성)->간단, 작음 - 분할된 모듈이 연동할 수 있는 (표준 인터페이스) 제공 - 대칭구조=>양단 동일 계층 사이의 프로토콜(단순화) - 각 계층 기능 오류 수정, 향상=>해당 계층 모듈만 교체. (2)프로토콜 설계 시 고려사항 ●주소 표현 : 서로 구분 - 브로드캐스팅(Broadcasting)=>모든 호스트. - 멀티캐스팅(Multicasting)=>특정 대상에게만. ●오류 제어 : 데이터 링크 계층의 주요 기능으..
[네트워크 기초] 네트워크 기초_1 1. 네트워크의 기초 (1) 네트워크 기초 용어 시스템(System) :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. (=체제) 인터페이스(Interface) :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근 방법. 전송 매체 : 시스템끼리 정해진 인터페이스를 연동해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물리적인 전송 수단인 전송매체(Transmission Media)가 필요하다. 프로토콜(Protocol) : 상호 연동되는 시스템이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때의 규칙/규약. 네트워크(Network) : 여러 시스템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이들을 하나의 단위로 통칭하는 말. 인터넷(Internet) : 전 세계의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 네트워크.(공통적으로IP(Interne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