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VMware에서 기본 세팅
1)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-> custom 선택
2) Workstation 9.0선택(가장 버전이 높은 것)
3) OS 설치 모드 선택->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
4) OS 종류 선택->Linux, centOS
5) 머신이이름 입력 및 폴더 선택 (자기 맘대로)
6) 프로세서 설정->1,1,1
7) Memory 설정->1024 MB
8) Network Type 설정->Use network address translation(NAT)
9) I/O Controller Type 설정 -> LSI Logic
10) 디스크 선택 -> Create a new virtual disk
11) HDD Type선택 ->SCSI
12) HDD 용량 설정 -> 20GB
13) Disk File 이름 설정 -> 그냥 Next(machine 이름과 동일하게)
14) 설정이 다 제대로 됬는지 확인 후 Finish
2. ISO파일 삽입 후 설치
1) 왼쪽에 CD/DVD 클릭 -> Use ISO image file 선택 -> Browse..-> DVD1번 삽입
2) Power on->Install or upgrade an existing system
3) CD-ROM으로 설치를 하지 않으므로 skip
4) next->언어 선택(한국어)->키보드 선택(한국어)->기본저장장치
5) 디스크 데이터 삭제(예, 모든 데이터를 삭제합니다.)
6) 호스트명 설정(서버이름)---자기 맘대로~
7) 도시설정: 아시아/서울 ->아래쪽 UTC 체크 해제
8) 관리자 암호 설정: 맘대로(6글자 이상)
9) 설치 종류 선택-> 사용자 레이아웃 만들기
10) 파티션 설정
/ 200MB
/boot 200MB
/usr 6000MB
/var 2000MB
/swap 4096MB
/home 200MB
남은 용량 /에 할당 후 디스크 변경 사항 기록
11) 부트로더 운영체제 목록 : CentOS/dev/sda7 확인 후 다음
12) CentOS 설치 모드 : Desktop선택, 소프트웨어 설치에 사용하고자 하는 추가적인 리포지터리:CentOS선택, 지금 선택
(C)
13) 기반시스테 ->레거시 유닉스 호환성->선택적 패키지->ksh...체크
서버 -->FTP 서버 체크
14) 재부팅
15) 라인센스 조항 동의(예)
16) 일반사용자 설정
17) 날짜 및 시간 설정
18) 경고 창 무시 후 완료
19) 부팅 완료 후 관리자 계정(root)로 로그인
20) 네트워크 연결
'System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] 리눅스 bash shell_기본 문법 (0) | 2020.09.27 |
---|---|
[리눅스] 리눅스 bash shell_기본 명령어 (0) | 2020.09.01 |
[리눅스 기본] 리눅스 FTP 설정 (0) | 2020.04.15 |
[리눅스 기초] VM에서 리눅스 설치 (0) | 2020.04.15 |